목록전체 글 (257)
And Brain said,

이번 시간엔 bucket 정책과 cors 정책에 관해 다뤄보겠다. 얘들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이미지 주소를 붙여도 이미지가 뜨지 않을 것이다. bucket 만드는 법은 이 글을 참고 https://theworldaswillandidea.tistory.com/32 [AWS] S3 bucket 간편하게 이미지 서버 구축하기 - [1] 이번 시간엔 데이터(사진, 동영상, 문서 등)를 Amazon S3에 업로드하기 위해 bucket을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왜 하는거냐, 이미지를 서버에 보내야 이미지 주소가 생성되기 때문. 이미지 주소를 theworldaswillandidea.tistory.com 저번 시간의 권한 설정 페이지부터 시작한다. 버킷 정책에서 편집을 누르면 정책 생성기가 존재하고 이것을 누르는데 ..

이번 시간엔 데이터(사진, 동영상, 문서 등)를 Amazon S3에 업로드하기 위해 bucket을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왜 하는거냐, 이미지를 서버에 보내야 이미지 주소가 생성되기 때문. 이미지 주소를 생성하는데 있어 AWS S3 bucket은 정말 간편한 방법이다. 시작해보자. 일단 AWS S3 페이지로 간다. 버킷 만들기를 누른다. 그럼 이런 창이 뜨는데 버킷 이름은 자유고 이렇게 설정한다. 그리고 퍼블릭 액세스 차단을 비활성화 시킨다. 그러면 간단하게 bucket 생성 완료! 이제 만들어진 버킷을 클릭하여 권한 설정 페이지로 간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들은 전혀 어렵지 않고 클릭만 하면 된다. bucket 정책 편집과 cors 정책 편집은 다음 시간에 배워보도록 하자.

서버를 한 번에 구동시키고 싶었는데 마침 구독하고 있는 블로그에 관련한 글이 올라와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https://h-owo-ld.tistory.com/141 [Node] 백&프론트서버 두 개를 한번에 열기 npm install concurrently --save concurrently Run commands concurrently. Latest version: 7.3.0, last published: a month ago. Start using concurrently in your project by running `npm i concurrently`... h-owo-ld.tistory.com 일단 가장 먼저 사용법 실사용 예 이제 back 서버 쪽에서 npm run dev로 한 번에 이리오너..

이번 시간엔 마커를 클릭 시 해당 숙소의 정보가 뜨도록 할 것이다. 카카오 api가 지원하는 이벤트 함수가 더럽게 말을 안 들어서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전 시간의 마커 찍는 코드부터 수정이 좀 있다. 원래는 for 문이 돌아가며 addListner로 마커 하나하나 click 이벤트가 적용이 되어 function을 실행시키는건데 더럽게 안 되서 결국 메소드를 하나 더 만들었다. 근데 저 안에서 function으로 만드는 것이랑 뭐가 차이가 있길래 안 됐던건진 모르겠다. 메소드 만들고나니 이게 더 괜찮은듯 다음 시간엔 마커에 필터링을 적용시켜보겠다. Thanks for watching, Have a nice day.